산바람/마창진김 52

창원 비음산 진달래

"너른산"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비음산은 창원시 토월동과 김해시 진례면 사이에 있는 산으로, 산 능선을 따라 포곡식 석축산성인 진례산성(지방기념물 제 128호) 축성되어 있다. 정상부근의 방대한 철쭉군락에서는 5월에 비음산철쭉제가 열린다. 산행일시: 2017.4.9(일)-황사현상으로 미세먼지 많음 산행코스: 축구센터공용주차장-목장원갈림길--굴반쉼터(체육시설)-숲속나들이길갈림길-삼형제나무-사슴나무-남산재-바위전망대-진례산성--정병산갈림길-비음산정상-남산재-굴반쉼터-목장원갈림길-공용주차장(원점회귀산행) 총산행거리: 6.4km, 약 2시간 30분

김해 백두산(원명사코스)

백두산은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괴정리,초정리에 걸쳐있는 산이다. 북서쪽의 신어산에서 산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북쪽으로 동신어산,남동쪽으로 백두산으로 이어진다.낙동강이 바로 앞에 펼쳐지고 산의 동쪽으로 대구.부산 고속도로,국도 69호선이 지나며 동쪽사면에는 원명사가 자리잡고 있다. 백두산만의 산행은 샨행이라기보다는 가볍게 워킹삼아 짜투리시간 활용차 오르면 된다(대동초교에서 약 1시간, 원명사에서 약 30-40분 정도면 정상에 도달). 산은 인근 산에 비해 높지는 않지만 낙동강을 바라보는 경치와 인근 부산쪽의 금정산과 양산.원동방면의 산들을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전망을 자랑하는 곳이다. 백두산에서 동신어산 혹은 신어산으로 종주도 할 수 있으며. 바로 맞은편의 까치산-장척산-백두산의 시계방향으로 도는 산..

김해 백두산(대동초등학교 코스)

백두산은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괴정리,초정리에 걸쳐있는 산이다. 북서쪽의 신어산에서 산줄기가 동쪽으로 뻗어 북쪽으로 동신어산,남동쪽으로 백두산으로 이어진다.낙동강이 바로 앞에 펼쳐지고 산의 동쪽으로 대구.부산 고속도로,국도 69호선이 지나며 동쪽사면에는 원명사가 자리잡고 있다. 백두산만의 산행은 샨행이라기보다는 가볍게 워킹삼아 짜투리시간 활용차 오르면 된다(대동초교에서 약 1시간, 원명사에서 약 30-40분 정도면 정상에 도달). 산은 인근 산에 비해 높지는 않지만 낙동강을 바라보는 경치와 인근 부산쪽의 금정산과 양산.원동방면의 산들을 조망할 수 있는 최고의 전망을 자랑하는 곳이다. 백두산에서 동신어산 혹은 신어산으로 종주도 할 수 있으며. 바로 맞은편의 까치산-장척산-백두산의 시계방향으로 도는 산..

진해 드림로드 홍도화길-안민고개

일 시: 2015.4.17(금) 탐방코스: 안민고개(공용주차장)-생태교-쉼터-드림로드-석동편백나무쉼터-갈림길(좌측:웅산능선, 직진: 청룡사)-웅산능선 (석동갈림길) -477봉(전망바위봉)-석동갈림길-철탑-헬기장-생태교-안민고개(공용주차장) (안민고개-웅산능선갈림길: 2.1km, 갈림길-능선:1.3km, 477m전망바위봉-안민고개: 3.2km) 총 6.6km 참고자료: 2019년 진해 드림로드 홍도화길(http://blog.daum.net/snowmiru/1918)

창원 천주산 진달래

"고향의 봄" 창작 배경지로 알려져 있는 천주산(天柱山)은 해발 638.8m로 하늘을 받치는 기둥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주 봉우리는 용지봉으로 창원시와 함안군 2개 시.군을 품고 있는 산이다. 4월의 진달래 피는 계절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장관을 연출하기에 전국적으로 명성을 날리고 있다. 매년 진달래가 만개하는 시기에 맞춰 진달래축제가 열리고 있다. 천주산 진달래 군락지 및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여러군데 있지만, 그중에서 달천계곡과 천자암 2곳이 대표적인 코스이다. 달천계곡 입구에 2003년 4월에 오토캠핑장이 문을 열어 주말이면 많은 사람들이 찿고 있다. 텐트를 칠 수 있는 31개의 사이트와 취사장,화장실,샤워장,주차장, 매점 등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지난해 10월에는 카라반 4대를 설치해 색..

사궁두미마을 일출-저도 용두산(비치로드길)

사궁두미마을에서 일출을 보고 저도로 이동하여 연륙교앞 공용주차장에 차량주차 후 산행 산행일시: 2015.1.17(토) 산행코스: 사궁두미마을 일출(마산합포구 덕동)-저도연륙교(공용주차장)-연륙교-하포마을(주차장)-제1전망대-제2전망대-사각정자- 코스분기점-제1바다구경길-제2바다구경길-제3바다구경길-정상가는길-코스합류점(갈림길)-용두산정상-군사제한구역(사격장)-바위전망대-고기고횟집-연륙교-공용주차장(GPS상 거리 8.16km, 약 3시간 소요)

무학산

마산시 뒷편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무학산은 산의 형상이 마치 학이 춤추듯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자세와 흡사해 무학산이라 불린다.특히 서원곡 계곡코스가 무성한 수목들과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고 있어 제일 인기 있으며,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처가 되고 있다. 무학산의 본래 명칭은 풍장산이었는데 신라말 최치원이 이곳에 머물면서 산세를 보고 학이 날으는 모습과 비슷하여 무학산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한다. 정상 바로 밑쪽에 서마지기라는 곳이 있는데, 한마지기는 논 200평, 밭 300평의 의미이므로 논 서마지기와 비슷한 넓이의 땅이라는 의미이다. 지금은 문을 닫았지만 과거 롯데크리스탈호텔의 유명한 밴드 이름이 서마지기였다고 한다. 등산코스는 서원곡, 만날재, 중리, 학동, 쌀재 등 다양한 코스들이 있다 산행일시..

창원 숲속나들이길

-숲속나들이길 조성사업 ***구간 : 명곡동 태복산 ~ 정병산 ~ 비음산 ~ 불모산 ~ 장복산 ~ 삼귀동 산성산 ***길이 : 65.4㎞기간 : 2010 ~ 2014년(5개년 사업) -1단계사업(‘10.7~‘11.6 : 봉림동 사격장 ~ 성주동 대암산 평바위 (15.4km) : 조성완료 -2단계사업(‘11.7~‘11.12) : 명곡동 태복산 ~ 봉림동 사격장 뒤(8km) : 조성완료 -3단계사업(2012~2014년) : 성주동 대암산 평바위 ~ 삼귀동 산성산 (42km) :조성중 일시: 2012. 12. 29(토) 숲속나들이길 코스: 창원종합사격장 공용주차장-사격장-약수터-편백숲-창원대학갈림길-팔군무송-월유정-길상사갈림길- 용추정-용추계곡입구안내소-용추계곡주차장(택시로 사격장주차장으로 이동 3500원)

창원 태복산 편백림 숲길따라

경남 창원시 의창구 명곡동 태복산 중턱에는 약 3ha의 편백나무숲이 조성되어 있다. 태복산 편백숲에서 명곡동,봉림동,도계동 방향으로 총 8개 코스의 숲속길이 조성되어 있어 인근 주민들의 좋은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편백림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는 스트레스 해소 및 심신안정, 항균,방충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알레르기 등 피부질환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원시는 사계절 내내 근교산을 산책할 수 있도록 명곡동 태복산에서 삼귀동 산성산까지 약 70km구간에 4-5부 능선을 따라 완만한 산책로를 조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태복산 편백림이 입소문을 타고 널리 알려져 학생들의 소풍장소로도 인기가 있다고 한다 산행일시: 2012.9.9(일) 흐리고 비 산행코스: 명곡고-명곡고 우측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