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경주 남산은 유물·유적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가면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후기까지의 불상들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 그 중에 하나인 높이 1.4m의 마애보살반가상은 칠불암(七佛庵) 위에 곧바로 선 남쪽바위에 새겨져 있다. 마치 구름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머리에 삼면보..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배리 석불입상 경주 남산 기슭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23년 지금의 자리에 모아 세웠다. 이 석불들은 기본양식이 똑같아 처음부터 삼존불(三尊佛)로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의 본존불은 머리에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있는데, 특이하게도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게 표현되었다. 어린아이 표정의 ..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배리 삼릉 배리삼릉은 경주 남산의 서쪽 기슭에 동서로 3개의 왕릉이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밑으로부터 신라 8대 아달라왕,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 등 박씨 3왕의 무덤이라 전하고 있다. 무덤은 모두 원형으로 흙을 쌓아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신덕왕릉이라 전해오는 가운데의 무덤은 1953년과 1963년에 ..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장항리 사지(오층석탑) 장항리 사지는 토함산 동쪽의 한 능선이 끝나는 기슭에 마련된 절터로서, 절의 이름을 정확히 알 수 없어 마을의 이름인 ‘장항리’를 따서 장항리사지라 부르고 있다. 이 곳에는 현재 금당터를 중심으로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서 있는데, 1923년 도굴범에 의해 붕괴된 것을 1932년에 복원이 가능한 서탑..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종오정 종오정 일원은 조선시대 영조(재위 1724∼1776) 때 학자인 최치덕(1699∼1770)의 유적지이다. 최치덕이 영조 21년(1745)에 돌아가신 부모를 제사 지내려고 일성재를 짓고 머무르자, 그에게 학문을 배우고자 따라온 제자들이 글을 배우고 학문을 닦기 위해 종오정과 귀산서사를 지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종오..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남산동 서출지 한여름 연꽃이 만발할 때, 백일홍이 필 때 정말 멋진 경관을 보여주는 연못이다. 연못 안에 두 발을 담그고 앉은 듯 ‘이요당’이라는 정자가 함께 있어 더 정취있게 느껴진다. 21대 소지왕 때 이 못에서 나온 노인이 왕에게 편지를 바쳤는데, 겉봉에 “열어보면 두 명이 죽고, 안 열어보면 한 명이 죽을.. 길바람/경북권 2011.08.23
경주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 이 일대는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다.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석탑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남쪽면의 불상을 주존으로 하여 남향사찰을 경영했었음을 알 수 있다.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묘사하였다. 남.. 길바람/경북권 2011.08.23
실잠자리의 짝짓기 하트모양의 독특한 모습으로 짝짓기를 하는 실잠자리의 풍경이 신기하다. 다양한 모양을 만들면서 보다 더 완벽한 하트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 6/12(일) 주남저수지에서 길바람/경남권 2011.07.10
충북 영동 황간면 월류봉 황간에서 서북방으로 2Km 지점에 우뚝 솟아 있는 월류봉 밑 일대의 절묘한 산수를 가리켜 한천팔경이라 한다. 월류봉은 절벽이 공중에 솟아, 높고 수려하며 그 봉우리에 달이 걸려 있는 정취는 진실로 아름답다. 또한, 깎아 세운 듯 똑바로 서있는 월류봉 밑을 맑은 물이 휘어 감아 돌고 있어 한 폭의 산.. 길바람/충청권 2011.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