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자는 조선 중종14년(1519년)에 삼족당 김대유(三足堂 金大有,1479∼1552년)선생이 후진을 교육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그는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의 문인으로 1507년(중종2년) 정시(庭試)에 장원급제하여 진사가 되고, 호조정랑 겸 춘추관 기사관, 정언(正言), 칠원(漆原)현감을 지내고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때 직을 사임하고 향리에 은거하면서 조식(曺植), 박하담(朴河淡), 주세붕(周世鵬), 김응조(金應祖), 김극일(金克一), 신계승(申季誠) 등 제현들과 도의지교를 맺고 이곳에서 강론하였는데, 그의 호를 따서 삼족대(三足臺)라 하였다.
삼족대(三足臺)는 학일산(鶴日山)의 지맥이 동창천(東倉川)으로 숙으려드는 기슭 절벽위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북쪽평지에서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 방형일곽의 토석담장은 동쪽으로 싸고돌며 북동쪽으로 사주문이 나있다. 건물은 정면3칸 중 좌측 협칸은 전면이 개방된 2간통(間通) 마루이고 우측 2칸은 전면에 반칸 퇴를 물려 마루를 깔고 그 뒤쪽에 온돌방을 들였다. 마루의 측면과 배면에는 각 칸에 양개띠장널문을 내었고 온돌방의 전면에도 각 칸에 양개살문을 달았다. 온돌방의 천장은 종이반자로 마감하였고 마루 쪽으로는 두 짝의 열개팔모 불발기문을 달았다. 구조는 방형의 자연석 덤벙주초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주두 아래에는 초각 된 앙설형(仰舌形)의 촛 가지를 한 개 뽑아놓았고 그 내면은 직절(直截) 하여 퇴보를 받치고 있으며 퇴량의 외단에는 봉두(鳳頭)가 새겨져 있으나 후대에 여러 차례 중수를 거치는 동안 형상이 조선후기의 작품으로 변모했지만 동창천 암벽 위 숲 속에 둘러 쌓인 삼족대는 아름다운 한국적인 정자의 모든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 삼족대 밑에는 1973년 세운 김대유선생의 신도비가 있고 참봉 김용희(金容禧)의 중수기문(重修記文)이 있다. (자료: 청도군청 문화관광)
'길바람 > 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대비사 (0) | 2010.03.07 |
---|---|
청도 금천면 박곡리 석가여래좌상(보물 제203호) (0) | 2010.03.07 |
울산 박제상유적지 (0) | 2010.02.28 |
울산 대곡박물관-대곡댐 (0) | 2010.02.28 |
울산 울주군 천전리각석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