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신라 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과 그의 부인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서원의 터이다. 박제상은 신라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후예였다. 눌지왕(訥祗王: 재위417∼458)이 임금이 된 후, 고구려와 왜국(倭國)에 볼모로 잡혀 있던 두 동생을 몹시 보고 싶어했다.
박제상은 임금의 명령을 받아, 먼저 고구려로 가서 복호(卜好)를 구출 해냈다. 다시 왜국으로 건너가 미사흔(未斯欣)을 구출해 귀국시켰으나, 일이 탄로나 자신은 붙잡혔다. 자신의 신하가 되면 많은 상을 주겠다고 왜왕(倭王)이 달랬지만, 박제상은 끝내 신라 신하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왜왕은 심한 고문을 가해도 소용이 없자 그를 불에 태워 죽이고 말았다.
한편 박제상의 부인은 딸들을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왜국쪽을 바라보며 통곡 하다가 죽었는데, 그 몸은 돌로 변하여 망부석(望夫石)이 되었고, 그 영혼은 새가 되어 날아가 은을암(隱乙岩)에 숨었다고 전한다. 사람들은 박제상의 부인을 치술신모라 하고 사당을 세워 제사 지냈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 사당 자리에 치산서원이 세워졌다고 한다.(자료: 울산광역시 문화관광)
'길바람 > 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금천면 박곡리 석가여래좌상(보물 제203호) (0) | 2010.03.07 |
---|---|
청도 삼족대 (0) | 2010.03.07 |
울산 대곡박물관-대곡댐 (0) | 2010.02.28 |
울산 울주군 천전리각석 (0) | 2010.02.28 |
울산 대곡리 반구대암각화 (0) | 2010.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