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바람/전라권

광양 백운산과 옥룡사지

그리운 바람길 2009. 8. 5. 15:53

 예로부터 광양에는 백운산의 영험한 기운 덕분에 인물이 많이 난다고 알려지고 있다. 특히, 조선조 중종 때의 대학자인 신재 최산두 선생이 봉황의 정기를, 병자호란 직후 몽고국의 왕비가 된 월애부인이 지혜의 동물인 여우의 정기를 타고 난 것으로 전해 오며, 앞으로는 돼지의 정기를 받아 광양 땅에 큰 부자가 나올 것이라고 입을 모으는데 광양제철과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 건설을 눈여겨 볼 수 있겠다

 

백두산∼금강산∼태백산∼속리산∼지리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호남정맥이 마이산∼ 내장산∼무등산∼제암산∼조계산을 힘차게 달려와 천리여정을 백운산에서 완성한다.


강 동편에 지리산을 두고 "ㄷ"자형으로 뻗어 내린 호남정맥의 모든 산들이 섬진강을 만들어 내는데 일조하지만 일등공신은 단연 백운산이다. 마지막 150리 물길을 이루어서 광양만까지 인도하는 역할을 백운산이 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백운산은 10여 킬로미터에 달하는 4개의 능선이 남과 동으로 흘러내리면서 4개의 깊은 계곡(성불(成 佛), 동곡(東谷), 어치(於峙), 금천(錦川))을 만들어 놓고 있다.

 

제1코스 : 동동마을 → 백운산수련장 → 억불봉 → 정상 → 진틀마을 (소요시간 : 6시간 30분, 16Km)
제2코스 : 선동마을 → 백운사 → 상백운암 → 정상 → 진틀마을 (소요시간 : 5시간, 12Km)
제3코스 : 진틀마을 → 삼거리 → 정상 → 신선대 → 삼거리 → 진틀마을 (소요시간 : 4시간, 10Km)
제4코스 : 논실마을 → 한재 → 정상 → 삼거리 → 진틀마을 (소요시간 : 4시간30분, 11Km)

  (자료: 광양시청 문화관광)

 

산행일시: 2006년 9월 2일(토)

산행코스: 진틀마을-삼거리-신선대 바위-정상-신선대-삼거리-진틀마을-옥룡사지 답사

 

 

 

 

 

 

 

 

 

 

 

 

 

 

 

 

 

 

 

 

 

 

 

 

 

 

 옥룡사지는 옥룡면 추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옥룡"이라는 지명은 도선의 도호인 "옥룡자"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온다. 옥룡사지를 싸안고 있는 백계산(505.8M)은 주산인 백운산(1,218M)에서 뻗어 내린 지맥으로 형성된 아담한 산으로 백운산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옥룡사는 신라 말에 조그만 암자였던 것을 도선국사가 864년에 중수하여 거처하였으며, 수백명의 사문들이 그의 법문을 듣고자 몰려들어 "옥룡사파"란 지파가 형성되자 몰려드는 인원을 수용하기 위해 인근에 운암사라는 사찰을 추가로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옥룡사는 몇차례의 화재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사세를 이어 오다가 1878년 화재로 소실된 후 폐찰 되었으며 현재 서 있는 대웅전은 1969년에 건립되었다. 옥룡사지에는 도선국사와 수제자인 통진대사의 비와 탑이 세워져 있었으나 1920년경에 모두 없어져 버리고 비문만이 탁본되어 "동문선"등에 전해온다.
 옥룡사지 주변에는 도선국사가 땅의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 심었다는 것으로 전해 오는 동백나무 7천여본이 7ha에 거쳐 울창한 동백 숲을 이루고 있는데 험난한 역사에 휘말려 절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이 동백들만이 그 뿌리를 견고히 내려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자료: 광양시청 문화관광)

 

 

 

 

 

 

 

 

 

 

 

 

 

 

 

 

'산바람 > 전라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무등산 눈꽃산행(1)  (0) 2010.01.10
덕유산 향적봉  (0) 2009.10.21
순창 회문산  (0) 2009.08.05
조계산(884m)  (0) 2009.07.17
월출산(천황사코스)  (0) 2009.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