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화순 쌍봉사 쌍봉사는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사동마을에 있다. 곡성 태안사에 있는 혜철 부도비에는 혜철이 신무왕 원년(839)에 당나라에서 돌아온 후 쌍봉사에서 여름을 보냈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839년 이전에 이미 쌍봉사는 창건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의 선맥을 이은 징효는 강.. 길바람/전라권 2013.06.04
보성 대한다원(제39회 보성다향제: 녹차대축제) 방문일시: 2013.5.18(일) 보성 일림산 산행을 마치고 녹차대축제가 열리고 있는 대한다원과 화순 쌍봉사 방문 길바람/전라권 2013.05.20
전남 진도 남도진성-쌍계사-운림산방-신비의 바닷길-전라우수영 ■ 남도진성: 조선시대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수군과 종4품 만호(萬戶)를 배치하여 조도해협과 신안 하의도 해역등을 관할하였다.현재 관아와 내아,객사를 복원하였으며 앞으로 선소(船所)와 활터를 복원할 계획이다. 성의 길이는 610m, 높이 5.1m로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길바람/전라권 2013.04.28
낙안읍성 삼한시대 마한땅, 백제 때 파지성, 고려 때 낙안군 고을터며, 조선시대 성과 동헌(東軒), 객사(客舍), 임경업군수비, 장터, 초가가 원형대로 보존되어 성과 마을이 함께 국내 최초로 사적 302호에 지정되었다. 조선 태조 6년(1397) 왜구가 침입하자 이 고장 출신 양혜공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 길바람/전라권 2013.02.17
고흥반도 끝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소록도 고흥반도의 끝자락인 녹동항에서 1㎞가 채 안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의 모양이 어린 사슴과 비슷하다고 하여 소록도라고 불리운다.한센병(나병) 환자를 위한 국립소록도병원이 들어서 있는 섬으로 유명하다 과거 한센병 환자들의 애환이 깃들어 있는 섬이지만 현재는 700여명의 .. 길바람/전라권 2013.02.03
여수 오동도 여수의 중심가에서 약 10분쯤의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오동도 입구 주차장에서 약 15분 정도, 방파제 길을 따라 걸으면 도착한다. 특히 방파제는 여수미협 작가들이 1개월간의 공동 작업으로 완성한 벽화가 인상적으로, 이 길은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된 바 있을 만큼 운치가 있.. 길바람/전라권 2012.01.31
전남 여수 하멜등대 여수시 동문동 여수구항 방파제에는 높이 10m의 붉은색 콘크리트 구조물이 바다를 향해 서 있는데, 그 이름이 이채롭게도 하멜 등대 이다. 여수는 하멜과 인연이 매우 깊은 고장이다. 1653년 그의 동인도회사 소속인 스페르웨르호가 제주도의 바위에 부딪혀 난파되었고 하멜은 다른 생존자.. 길바람/전라권 2012.01.31
여수 진남관 진남관 터는 조선시대 사백여 년 간 조선 수군의 본거지로 이용 되었던 역사의 현장이다. 진남관은 여수를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로, 여수시 군자동 472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현존하는 국내 최대의 단층 목조건물이다. 이곳은 원래 충무공 이순신이 전라좌수영의 본영으로 삼았던 진해.. 길바람/전라권 2012.01.31
전남 여수 돌산도 은적암 여수 돌산도 은적사는 중봉산 중턱에 자리 잡은 작은 암자이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고려 명종 때인 1195년 정혜결사를 일으켰던 보조국사 지눌스님이 창건했다고 한다. 은적사 주변의 난대림과 관련하여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이야기가 있다. 은적사를 세울 때 절 주변 형국은 호랑이가 .. 길바람/전라권 2012.01.30
전남 여수 향일암 우리나라 4대 관음기도 도량인 향일암(向日庵)은 돌산도의 끝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신라의 원효대사가 선덕여왕 때 원통암( 圓通庵)이란 이름으로 창건한 암자다. 고려시대에는 윤필대사가 금오암(金鼇庵)으로 개칭하여 불리어 오다가, 남해의 수평선에서 솟아오르는 해돋이 광경이 아.. 길바람/전라권 201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