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서원은 건립 당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으로 불렸는데 그후 퇴계 이황이 풍기군수로 부임한 후 조정에 건의하여 소수서원으로 사액되었습니다. 사액서원이라함은 나라로부터 책, 토지, 노비를 하사받아 면세, 면역의 특권을 가진 서원을 말합니다. '소수(紹修)'라 함은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닦게 하였음'이란 뜻으로 학문 부흥에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당시 명종임금은 손수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 글씨를 써서 하사하였다고 합니다.
이 서원은 풍기군수였던 신재(愼齋)주세붕(周世鵬)선생이 고려말 유현(儒賢)인 회헌 안향(安珦 )선생의 연고지에다가 조선 중종 37년(1542) 사묘(祠廟)를 세우고 안향 선생을 주향(主享) 하였으며, 다음해에는 안향 선생의 영정을 봉안하고 학사(學舍)를 세워 주자(朱子)의 백록동서원을 본받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데서 비롯되었다. 중종 39년(1544)에는 안축(安軸)선생과 안보(安輔)선생을 배향하였으며, 명종원년(1545) 안향 선생의 후손 안현이 경상감사가 되어 서원의 사당을 참배하고 각종 경비를 지원하였다.
명종 4년(1549) 퇴계 이황 선생이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경상감사 심통원(沈通源)에게 서원의 편액과 토지 · 노비를 하사해 주도록 계청(啓請)하자, 감사 심통원이 조정에 계청함으로써 이듬해 명종5년(1550) 5월 왕명으로 대제학 신광한(申光漢)이 서원의 이름을 『소수紹修』 라 지었으니,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다시 이어 닦게 하였음"(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이란 뜻이다. 명종임금이 손수 『紹修書院』편액 글씨를 써서 하사 하였으니, 곧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자 공인된 사립고등교육기관(私立高等敎育機關)으로 인정 받게 되었다. 인조 11년(1633)에는 서원을 창건한 주세붕 선생을 추향(追享)하였다. 회헌 안향(1243∼1306)선생은 고려 원종 원년(1260) 진사과에 급제한 후 우사의(右司議)등을 거치면서 문교진흥에 진력한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朱子學者)이다.
신재 주세붕(1495∼1554) 선생은 많은 저서를 남겼고 황해도 관찰사,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면서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다. 경내에는 강학당, 일신재 · 직방재, 학구재, 지락재, 서고, 문성공묘(文成公廟 )등이 있고, 안향 초상(국보 제111호),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보물 제458호)등 중요유물과 각종 전적(典籍)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경내에는 이곳이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이있었음을 알려주는 숙수사지당간지주(宿水寺址幢竿支柱)(보물 제59호) 등의 불적(佛蹟)이 남아 있다.
방문일시: 2013. 8. 22(목)
숙수사지 당간지주는 소수서원 입구에 위치하는데 양 지주가 59cm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상대해 있는데, 상부로 가면서 3cm 가량 더 넓어지고 있다. 지주의 내측면으로는 아무런 조각이 없고 바깥 면은 중앙에 능선형으로 길게 종대를 새기고 있다. 정상에서 117cm 아래서부터 234cm까지 사이는 전면적으로 음각되었다. 전후 양측면에는 양지주 모두 폭 7cm의 외록선문이 돌려지고 그 중앙에도 선으로 능선이 조식되어 있다. 정상부의 안쪽면으로 장방형의 간구가 있고, 하단은 다듬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지대석은 1면에 원고의 받침이 새겨진 장대석이 양쪽으로 1매씩 놓여 있다. 당간지주의 형식이나 숙수사지의 여타 유물들과 관련해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敬)”자는 유교의 근본정신인 “경천애인(敬天愛人)”의 머리글자이며, 세조 3년(1457) 단종복위운동 실패로 참절당한 제 의사들의 시신을 죽계천 백운담에 수장시킨 후로는 밤마다 영혼들의 울음소리가 요란하므로 유생들이 밤 출입을 꺼리자, 주세봉선생이 영혼을 달래기 위하여 글자 위에 붉은 칠을 하여 제를 드리니 그때부터 울음이 그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때 흘린 의사들의 피가 죽계천을 따라 이곳에서 약 7km 떨어진 동네 앞까지 가서 멎었다고 해서 지금도 동네 이름을 “피끝마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1985년 1월 문화재관리국과 대구대학교가 함께 발굴 조사한 이 벽화고분은 학술적·문화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고분의 축조년대는 고분의 현실(玄室) 남쪽 벽에 쓰여진 기미중묘상인명(己未中墓像人名)이란 글씨를 통하여 대략 539년 쯤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부 구조는 연도가 마련된 석실분(石室墳)으로서 연도를 통해 들어가면 시신을 모신 현실(玄室)이 있고, 이 현실의 동쪽으로 관(棺)을 올려 놓았던 관대(棺臺)가 비교적 높게 마련되어 있고, 아울러 규모가 작은 보조 관대도 현실의 서북 모서리에 마련되어 있었다. 현실의 크기는 동서 3.5m, 남북 약 2m로 네벽은 위로 갈수록 약간씩 각을 줄여 쌓고 천장은 두장의 판판하고 큰 돌을 올려 완성하였다. 벽화는 천장을 제외한 내부의 모든 벽면과 관대의 측면까지 채색화(彩色畵)를 그렸고, 특히 연도의 좌우벽에 힘이 센 장사상(壯士像)을 그렸다. 특히, 연도 서쪽벽의 뱀을 손에 감고 있는 장사상은 이 무덤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고분은 벽화나 구조로 보아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축조된 고대 신라의 고분벽화로 추정되어지며, 이 고분에 있는 벽화를 통해서 우리나라 삼국시대 회화(繪畵)는 물론 당시의 종교관·내세관, 그리고 고구려와의 문화교섭 등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는 공자를 주향으로 하여 아성자공제후를 종향하는 문묘향교의 동·서무 위패의 배향식을 보여주는 인물배열도로 일종의 의궤도라 할 수 있다. 공자를 상위로 하여 72현의 제자와 제후가 차례로 앉은 그림이다. 이 그림은 화기에 따르면 조선 중종 8년(1513)에 그려진 이모본으로 작가는 미상이다. 단상 중앙의 공자상을 중심으로 그 좌우와 단 아래 배열된 제자들이 중앙을 향하여 약간의 측면상으로 다루어졌으며,길게 세워진 삼각구도에 맞추어 2중, 3중의 종렬로 배열 하였다.
인물은 모두 의자에 앉은 자세로 면류관 형태의 사각관모를 쓰고 홀을 든 차림으로 의식행렬을 보여준다. 이 그림의 원본은 안향이 국학학정 김문정으로 하여금 고려 충렬왕 29년(1303) 원나라로부터 가져오게 한 것 중의 한폭으로 국학 대성전에 모시고 있던 것이라 한다.
'길바람 > 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 최초의 사찰 도리사-모례마을 (0) | 2014.01.30 |
---|---|
바위 위에 떠있는 정자 "주암정" (0) | 2014.01.20 |
경북 영주 성혈사 나한전 꽃창살무늬 (0) | 2013.09.26 |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0) | 2013.09.26 |
경주 사천왕사지 (0) | 201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