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영정(息影亭)은 "그림자가 쉬고있는 정자"라는 뜻이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특이한 것은 한쪽 귀퉁이로 방을 몰아붙이고 전면과 측면을 마루로 두고 있다.
명종 15년(1560)
서하당 김성원(棲霞堂 金成遠, 1525-1597)이 창건하여 장인(丈人)인 석천 임억령(石川 林憶齡, 1496-1568)에게 증여한 것이다.
식영정 바로 곁에 서하당(棲霞堂)이란 또 다른 정자를 지었다고 하며 최근 복원하였다.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행장(行狀)을
보면「庚申公三十六歲 築棲霞堂于昌平之星山 爲終老計……」란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서하당과 식영정이 1560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제봉
고경명(齊峰 高敬命, 1533-1592), 송강 정철(松江 鄭澈, 1536-1593)등과 함께 ’식영정 사선(息影亭 四仙)’으로 부르기도
한다.
서하당 김성원은 송강의 처외재당숙으로 송강보다 11년이나 연상이었으나 송강이 성산에 와 있을 때 같이 환벽당(環壁堂)에서
공부하던 동문이었다. 송강 정철은 이곳 식영정과 환벽당, 송강정(松江亭) 등 성산 일대의 미려한 자연경관을 벗삼으며『성산별곡』을 창작해냈던
것이다.
또한, 송강은 이곳을 무대로 하여 면앙정 송순(俛仰亭 宋純), 하서 김인후(河西 金仁厚),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承) 등 당대의
명유들을 스승으로 삼았으며 제봉 고경명, 옥봉 백광훈(玉峰 百光勳), 귀봉 송익필(歸峰 宋翼弼) 등과 교우하면서 시문을 익혔다. 이곳은 식영정
외에도 풍광이 수려하여 유상지(遊賞地)로도 이름난 곳이 많은데 자미탄(紫薇灘), 노자암, 방초주(芳草州), 조대(釣臺), 부용당(芙蓉堂),
서석대(瑞石臺) 등이 있었으나 광주호가 생기면서 일부는 물에 잠기고 현재는 부용당만이 최근 새로 지었다.(자료: 담양군청 문화관광)
방문일시: 2013.8.3(토)
방문코스: 명옥헌-후산리 은행나무-창평시장(국밥거리)-식영정-한국가사문학관-환벽당-취가정-개선사지석등-소쇄원-물염정
'길바람 > 전라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가정 (0) | 2013.08.06 |
---|---|
푸르름을 사방에 둘렀다는 환벽당(環碧堂) (0) | 2013.08.06 |
백일홍이 아름다운 담양 명옥헌원림 (0) | 2013.08.05 |
전남 화순 쌍봉사 (0) | 2013.06.04 |
보성 대한다원(제39회 보성다향제: 녹차대축제)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