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도(吳希道)의 넷째아들 오이정(吳以井, 1619-1655)이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道藏谷)에 헌(軒)을 짓고 이를 명옥헌(鳴玉軒)이라 이름
지었다. 오이정은 스스로 호(號를) 장계(藏溪)라 한바 장계정(藏溪亭)이란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그 후 100여 년이 지나 정자가 퇴락함에
따라 후손 오대경(吳大經)이 다시 중수하였다. 오희도(吳希道, 1583-1623)는 1602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23년(인조 1년) 알성문과(謁聖文科)에 합격하였다. 예문관(藝文館)의 관원으로 천거되었고, 기주관(記注官)을
대신하여 어전에서 사실을 기록하는 검열(檢閱)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망하였다.
명옥헌원림은 주변의 자연경관을 차경(借景)으로 도입한 정사(亭舍)중심의 자연순응적인
전통정원양식이지만 전(前)과 후(後)의 조선시대 전통적인 ’방지중도형(方池中島形)’의 지당부(池塘部)를 도입하였다. 전(前)의 지당부는 명옥헌의
북쪽에 위치하며 그 고저차는 약 6.3m이다. 동서너비 약 20m, 남북길이 약 40m 크기를 갖는 방지의 중심부는 원형의 섬이 있으며 주위에
약 20주의 자미나무가 심어져 있는데 수령은 100여 년 정도이다. 명옥헌의 동쪽에 자리 잡은 지당(池塘)은 동서 16m, 남북 11m
크기이다. 이 지당은 1979년 여름에 조사 발굴된 것으로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계류의 물을 끌어 채운 것으로 북과 서쪽에 자미나무가 심어져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의 정자로 실의 구성은 외부로 툇간을 돌리고 그 중앙에 실을 둔 중앙실형(中央室形)이다.
방에는 구들을 두었고 평천장을 하였다. 마루의 외곽에는 평난간을 두었다(자료: 담양군청 문화관광)
방문일시: 2013.8.3(토)
방문코스: 명옥헌-후산리 은행나무-창평시장(국밥거리)-식영정-한국가사문학관-환벽당-취가정-개선사지석등-소쇄원-물염정
'길바람 > 전라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르름을 사방에 둘렀다는 환벽당(環碧堂) (0) | 2013.08.06 |
---|---|
광주호가 내려다 보이는 식영정 (0) | 2013.08.06 |
전남 화순 쌍봉사 (0) | 2013.06.04 |
보성 대한다원(제39회 보성다향제: 녹차대축제) (0) | 2013.05.20 |
전남 진도 남도진성-쌍계사-운림산방-신비의 바닷길-전라우수영 (0) | 2013.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