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왕검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을 간직한 삼랑성내에 아늑히 자리잡고 있는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에 아도화상이 처음 창건하고 진종사(眞宗寺)라 이름 지었다. 그후 고려 충렬왕비 정화궁주가 이 절에 귀한 옥등을 시주했다해서 전할전, 등불등자(傳燈寺)를 써서 전등사로 개명하였다고 한다.
이절의 입구에 있는 대조루 밑을 지나들어가면 정면에 보물 제178호로 지정되어 있는 대웅보전이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 안에는 1544년 정수사에서 판각되어 옮겨진 법화경 목판104매가 보전되고 있으며, 명부전 맞은편 왼쪽 언덕을 약100m 오르면 조선 왕실의 실록을 보관했던 정족산 사고터가 복원되어 있다. 강화에는 마니산에 사고를 설치하였다가 1660년 이곳 전등사 경내로 옮겨 1678년이래 실록 및 서적을 보관하였고, 그후 정족산 사고가 복원되었다.
경내에 있는 보물제393호 범종은 중국종으로 중국 하남성의 숭명사에서 북송시대(1097), 고려 숙종2년에 주조된것으로 우리나라 종과는 달리 종머리에 음관이 없고 용머리 주위에는 아름다운 16개의 연잎이 둘려 있는것을 볼수 있으며 견대와 요대사이에는 8괘가 둘려있어 특이함을 나타내고 있다. 1866년 병인양요때는 승군 50명이 전투에 참가 하기도한 호국 불교의 사찰로, 당시 조선수비대장이던 양헌수 장군 승전비가 전등사 동문 입구에 세워져 있다.
방문일시: 2019.1.7(마니산 산행후 방문)
대웅보전(보물 제178호)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존불(보물 제1785호)
전등사 대웅보전이 세상에 더욱 더 유명해진 것은 대웅보전의 처마끝 네군데에 지붕을 떠받치고 있는 나부상(裸婦像)때문이다.
전설에 의하면 대웅보전 건립에 참여한 도편수가 불사를 하던중 마을의 주모와 깊은 사랑에 빠져서 불사를 마치면 주모와 혼인하기로 하고 정성껏 모아둔 돈을 모두 맡겼는데, 공사 막바지에 주막을 찾아가니 여인은 사라지고 없었다고 한다.
사라진 여인생각에 도편수는 힘겨운 나날을 보내다 마음을 다잡고 대웅전 공사를 마무리하게 된다. 공사가 끝나갈 무렵 대웅전의 처마 네군데에는 지붕을 떠밭치는 벌거벗은 여인상이 만들어져 있었다. 대웅전을 중건하였던 도편수나 스님들은 과연 무슨 의미로 나부상을 올려놓았을까요?
욕심에 눈이 멀어 사랑을 배신한 여인을 징계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배신하고 도망간 여인이 대웅전에서 들리는 부처님의 말씀을 들으며 잘못을 참회하고 세상을 올바르게 살아가라는 도편수의 불교적 사랑과 염원이 반영된것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나부상이 아니라 사찰을 수호하는 원숭이로 간주하기도 한다.
'길바람 > 기타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여행: 천제연폭포-여미지식물원-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약천사 (0) | 2019.07.07 |
---|---|
제주여행( 애월읍 곽지 과물해변 산책로) (0) | 2019.07.07 |
양주시립 회암사지박물관-회암사지-회암사 (0) | 2019.01.11 |
서울 롯데월드타워(서울스카이)일몰 및 야경 (0) | 2019.01.11 |
명선도 일출(2019.1.1) (0) | 2019.01.01 |